목차
2023년 근로소득 세율 변동 사항과 근로 소득세 계산 방법
매년 신경 써야 하는 주제, 바로 '소득세'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2023년 근로소득 세율 변동이 있었는데요, 이에 대한 내용을 잘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께 알아봅시다.
2023년 소득세법 개정 소식
우선, 앞서 말한 2023년 소득세법 개정 소식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그 변동 사항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근로소득 세율의 일부 구간 변동입니다.
- 기존에 6%의 세율이 적용되던 과세표준액 구간이 1200만 원에서 1400만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또한, 24% 세율 구간도 4600만 원 초과에서 5천만 원 초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두 가지 변동 사항은 실질적으로 일반 근로자들의 세금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어떻게 과세액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이해하려면, 초과 누진세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초과 누진세제 이해하기
소득세는 초과 누진세율이 적용되는 세금입니다.
이것은 말 그대로 특정 구간을 초과할 때마다 세율이 증가하는, 즉 소득이 높은 사람에게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세금제도입니다.
각 소득 구간에 대해 적용되는 세율로 세금을 계산한 후 이를 합산하여 최종 세금액을 구하는 방식입니다.
근로 소득세 계산 방법
그럼 이제 이해를 돕기 위해 소득세 계산의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연봉 7천만 원인 직장인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직장인의 과세표준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총급여에서 비과세 부분과 각종 소득공제를 제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카드사용내역공제 등의 소득공제 합계가 3천만 원이라면, 이를 연봉에서 빼준 4천만 원이 과세표준액이 됩니다.
2022년과 2023년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22년: 1구간(1200만 원)의 세율 6% 세금 72만 원 + 2구간 세율 15%의 세금 420만 원 = 492만 원
- 2023년: 1구간(1400만 원)의 세율 6% 세금 84만 원 + 2구간 세율 15%의 세금 390만 원 = 474만 원
결과적으로 2023년 소득분에 대해서는 약 8만 원 정도의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2023년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실제 계산을 할 때는 위의 방식이 불편하므로 누진공제액을 빼면 간단히 계산됩니다.
과세표준 | 근로소득 세율 | 누진공제액 |
1,400만원 이하 | 6% | 0 |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이하 | 15% | 126000원 |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 24% | 576000원 |
8,800만원 초과 ~ 1억5천만원 이하 | 35% | 1544000원 |
1억5천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 38% | 1994000원 |
3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 40% | 2594000원 |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 | 42% | 3594000원 |
10억원 초과 | 45% | 6594000원 |
앞에 예를 든 것처럼 과세표준 4천만 원에 대해서 계산을 하면 4천만원에 해당하는 세율 15%를 계산하고 누진공제액을 빼면 됩니다.
40000000원 * 15% - 1260000원 = 4740000원.
연말정산과 원천징수
그러나 이러한 계산은 연말정산 시에 이루어집니다. 매달 원천징수로 소득세를 납부하는 것은 대략적인 세금을 미리 납부하는 것으로, 이후 연말정산을 통해 실제로 납부해야 할 세금과 비교해 추가로 납부하거나 환급받게 됩니다.
프리랜서의 소득세
마지막으로, 프리랜서나 일용직 노동자들도 같은 원칙으로 소득세를 납부합니다. 보통 프리랜서들은 3.3% 원천징수의 세금만 납부하는데, 연소득이 7500만 원을 넘어가면 복식부기 대상자가 되어 과세표준이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
지금부터는 '일용직근로자 소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일용직 근로자는 하루 단위로 일을 하는 분들을 의미하는데, 건설 일용직부터 1일 알바, 아르바이트, 막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계십니다.
이러한 일용근로자 분들도 소득이 발생하므로 근로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는 사실,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일용근로자 소득세는 어떻게 계산하고, 어떤 절차를 통해 납부해야 할까요?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용직 근로자 소득세 계산 방법
소득세 계산의 기본
일용근로자의 소득세 계산은 다음과 같이 시작합니다. 우선, 일용근로소득(일당)에서 기본공제 15만 원을 빼서 근로소득 과세표준 금액을 구합니다. 이는 공제할 수 있는 최대 금액으로, 이를 넘어가는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근로소득 과세표준 금액 = 일용근로소득(일당) - 기본공제(15만원)
그다음으로 이 과세표준 금액에 세율 6%를 곱해서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이때, 일용근로소득에 대해서는 단일세율 6%가 적용된다는 점을 기억해 두세요.
산출세액 = 근로소득 과세표준 금액 x 6%
그런 다음 이 산출세액에서 근로소득세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세액공제는 총 산출세액의 55%를 뺀 금액이며, 이를 뺀 후 남은 금액이 결국 납부할 근로소득세가 됩니다.
근로소득세 = 산출세액 - (산출세액 x 55%)
마지막으로 이 근로소득세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지방소득세를 추가로 납부하게 됩니다.
지방소득세 = 근로소득세 x 10%
종합 예시
그럼 이제 예시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일 일당이 20만 원인 일용근로자의 경우, 기본공제(15만 원)를 뺀 금액은 5만 원이 되겠네요. 이 금액에 6%를 곱해 3,000원의 산출세액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산출세액에서 55%를 뺀 금액인 1,350원이 결국 근로소득세가 되며, 이 금액의 10%인 135원이 지방소득세로 추가로 납부되게 됩니다.
갑근세와 일용직 소득세
일용직 소득세는 갑근세(갑종근로소득세)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용직 근로자분들이 갑근세에 대해 궁금해하신다면, 위에서 설명드린 소득세 계산법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일용근로자 소득세 계산 실용 정보
일용직 근로자분들이 급여를 받을 때, 이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원천징수되어 일용근로자분들이 실제로 받는 금액에서 빼주게 됩니다. 이는 근로자분들이 별도로 세금을 계산하고 납부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는 방법입니다.
또한, 공제한 금액에서 6%를 적용하여 근로소득세를 계산하고, 45%의 세액공제를 적용하면 1,000원 미만이 되는 구간인 일당 187,000원 이하에서는 세금을 납부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일용근로자분들은 일당이 187,000원 이하일 경우 세금을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끝으로, 이러한 세금 계산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활용하면 더욱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해당 표를 다운로드하여 월급여액과 공제 대상 가족수를 조회하면 소득세를 쉽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일용근로자 소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일용직 근로자로 활동하고 계시고, 이러한 일용직 근로자들의 권익은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에, 알아두면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런 정보를 공유하게 되어 기쁩니다.
여기까지 성심껏 정리해 봤는데요. 간단하게 소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았으니 이제는 더욱 편안하게 일용근로에 임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자바스크립트로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를 짜줘. html로 일당 입력받는 폼부터 시작해서, 근무일수를 입력받아서, 일총급여액(비과세제외), 근로소득공제(일 15만 원), 일용근로소득금액, 세율, 산출세액, 근로소득세액공제액, 결정세액, 근무일수, 원천징수세액, 지방세(원천징수세액의 10%)를 표로 잘 정리해서 출력하도록 짜줘.
HTML, CSS, JavaScript를 활용하여 일용근로소득세 계산기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해당 코드는 근로일수와 일당을 입력하면 계산 결과를 표 형태로 출력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HTML:
<!DOCTYPE html>
<html>
<head>
<title>일용근로소득세 계산기</title>
<style>
table, th, td {
border: 1px solid black;
border-collapse: collapse;
padding: 15px;
text-align: center;
}
</style>
</head>
<body>
<h2>일용근로소득세 계산기</h2>
<p>근로일수와 일당을 입력하세요.</p>
<label for="workDays">근로일수:</label>
<input type="number" id="workDays" name="workDays">
<br>
<label for="dayWage">일당:</label>
<input type="number" id="dayWage" name="dayWage">
<br>
<button onclick="calculate()">계산하기</button>
<div id="result"></div>
</body>
</html>
JavaScript:
<script>
function calculate() {
const workDays = document.getElementById("workDays").value;
const dayWage = document.getElementById("dayWage").value;
const basicDeduction = 150000;
const taxRate = 0.06;
const taxDeductionRate = 0.55;
const localTaxRate = 0.10;
const totalWage = workDays * dayWage;
const workIncomeDeduction = workDays * basicDeduction;
const dailyWorkIncome = totalWage - workIncomeDeduction;
const calcTax = dailyWorkIncome * taxRate;
const workIncomeTaxDeduction = calcTax * taxDeductionRate;
const determinedTax = calcTax - workIncomeTaxDeduction;
const withholdingTax = determinedTax * workDays;
const localTax = withholdingTax * localTaxRate;
let result = `<h3>계산 결과</h3>
<table>
<tr>
<th>항목</th>
<th>금액</th>
</tr>
<tr>
<td>일총급여액</td>
<td>${totalWage}</td>
</tr>
<tr>
<td>근로소득공제</td>
<td>${workIncomeDeduction}</td>
</tr>
<tr>
<td>일용근로소득금액</td>
<td>${dailyWorkIncome}</td>
</tr>
<tr>
<td>세율</td>
<td>${taxRate * 100}%</td>
</tr>
<tr>
<td>산출세액</td>
<td>${calcTax}</td>
</tr>
<tr>
<td>근로소득세액공제액</td>
<td>${workIncomeTaxDeduction}</td>
</tr>
<tr>
<td>결정세액</td>
<td>${determinedTax}</td>
</tr>
<tr>
<td>근무일수</td>
<td>${workDays}</td>
</tr>
<tr>
<td>원천징수세액</td>
<td>${withholdingTax}</td>
</tr>
<tr>
<td>지방세</td>
<td>${localTax}</td>
</tr>
</table>`;
document.getElementById("result").innerHTML = result;
}
</script>
위 HTML과 JavaScript 코드를 사용하면, 입력된 근로일수와 일당에 따른 일용근로소득세 계산 결과를 표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HTML 파일을 열어 확인해 보세요.
댓글